GUI
GUI 이전의 interface
Vannevar Bush(1945)
Memex → 하이퍼 텍스트 정보를 검색하게 하자,
Douglas Englebart(1962) → 마우스와 커서 개념을 가져옴
SAGE
XEROX 의 Alto(1973) →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한 새로운 사무용기기 개발
WISWIG 개념의 문서작성 프로그램과 OS 개발
Apple Computer 의 Lisa → 만 달라
맥킨토시(1984) → 대중화 목표 (2000-3000 달라)
파격적인 광고, 뉴스위크지의 전체 광고를 삼, 공격적인 마케팅, 새로운 GUI에 대해서 대대적인 홍보
MS
윈도우1.0 , 시장에서 실패, 애플의 특허로 인해 GUI 개념을 사용 못함,
윈도우2.0, Excel, Word 등의 응용프로그램들 개발, 특허권분쟁에서 승리
Apple주요 GUI 컨셉을 Windows3.0 에 적용함
윈도우 3.1 업그레이드 버전의 상업적 성공 → 개인 사무용의 컴퓨터 독점
많은 곳에서 GUI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독점으로 인해 개발이 중단됨
애플과 차별화된 GUI 디자인이 들어감
GUI의 진화
최근 Os의 특징
공감감의 활용한 새로운 GUI 컨셉 적용, MS windows7
Virtual Desktop 개념의 3차원 공간 활용(Bumptop등)
GUI 의 발전
GUI의 탄생은 마우스의 탄생과 같다. (정밀 조작 환경에서는 포인팅 디바이스)
멀티터치 인풋
멀티터치+모바일 디바이스 발전
센싱 인풋
범프탑, 닌텐도, 애플
WINP 에서 Post WIMP 로
초기 GUI 주요 요소: Window, Icon, Menu, Pointer
최신 Sw 의 복잡성
Post Wimp 연구 시도
VR,AR, Game 환경에서의 시도 활발
Office 에서 Mobile로
스마트폰의 발전은 GUI의 새로운 발전을 요구
Apple Iphone
Desktop OS GUI 요소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Cover Flow, Dropdown Menu)
터치스크린과 모바일 환경 디바이스에 적합한 GUI 요소 개발
GUI개념과 원칙
GUI 개념
화면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매체
연구영역: 그래픽 디자인, 인간공학, 심리학, 사회학, 정보학, ….
인간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과정과 경험을 디자인
인터페이스의 4가지 영역
물리적 인터페이스
이용자와 소프트웨어가 서로 대화할 수 있는 물리적 통로
인지적 인터페이스
어떻게 정보가 기억되고 그에 따라 이용자가 반응하는 것에 대해 이해함
감성적 인터페이스
풍부한 이용자 경험을 창출
사회적 인터페이스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와의 관계를 맺는 방식,
UI Design Process
요구, 컨셉 디자인, 로지컬 디자인, 물리적 디자인, 완성 , 테스트
단계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사람과 시스템이 갖는 과정을 디자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보 디자인 관점에서의 GUI 디자인
초기 GUI 의 정보 노이즈에 대한 대안을 요구 → 정보 디자인의 필요성을 대두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기술 및 업무
일방향 vs 양방향
일방향: 출판물
양방향: 정보의 가시화 + 조작이 용이한 형태로 정보를 변화<-GUI 개념
3가지 원칙
간결성(간략화)-지각적측면 → 가시성의 획득
중요하지 않은 요소들을 제거하여 정보 지각을 용이하게 함
과도한 메타포의 지양
무질서와 시각적 노이즈
명확하기 위한 과도한 노력
지나치게 자세한 에러 메시지, 과도한 아이콘&레이블
규칙화
간략화 된 정보에 일정한 규칙(일관성)을 부여
차별화
정보가치의 우선 순위 적용,
정보 구별이 되도록 차별화 하여야 함.
일관성(규칙화)-인지적 측명 → 내용의 파악
UI design 원칙
행위 7단계와 UI 디자인 원칙
가시성
시스템 상태를 지각하는데 시각적으로 도움을 제공
행동유발성, 전체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느냐..
간략화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자.
효율성
유저 컨트롤
신뢰감을 부여한다. 시스템 조작에 대한 신뢰감 부여
GUI 에 대한 미래
Media Convergence
클라우드 상의 컨텐츠 관리를 통한 매체간의 경계 사라짐
새로운 방식의 미디어 인터렉션 GUI 디자인이 필요
Post Screen GUI
AR, MR, Flat 한 스크린의 영역을 투과하고 확장
각종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와 사용자 스스로 입력하는 정보를 어떻게 조화롭게 표시할 것인가?
Post Mouse Interaction
미디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이쓴 새로운 입력방식 필요
'온라인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교육 (4/6) (0) | 2010.05.22 |
---|---|
UX 교육 (3/6) (0) | 2010.05.22 |
프로세스 로딩후 메모리 및 stack 구조의 이해 (0) | 2010.05.17 |
mpeg2 1/3 (0) | 2010.05.15 |
메모리 페이징 모드. (0) | 2010.05.13 |
메모리 (보호모드) (0) | 2010.05.12 |